미분 → 변화율 계산!
함수를 작게 나눔으로써.
미분의 정의 : 특정값 a에 대해 나오는 결과값의 변화율.
최적화와 미분의 관계
최적화 : 여러 가지 해결 방안 중 가장 적합한 것을 찾아가는 과정.
물건 구입할 때 가성비를 따지듯 공학 문제에서 너무 크지도 않으면서 작지도 않은 가장 적당한 조건을 찾는 것!
목적함수(objective function) : 최적화 문제에서 대상이 되는 함수
제한조건(constraint) : 목적함수에서 주어지는 특정 조건이나 변수의 범위
선형 관계로 주어지지 않는 대부분의 최적화 문제는 목적함수가 위로 볼록하거나 아래로 오목하여 미분값이 영이 되는 지점을 찾으면 됨. ← 이 때 미분 이용
최저점 찾기 알고리즘 : 목적함수가 수식으로 주어지면 기울기가 영인 지점을 찾으면 되지만, 데이터값으로 주어지는 경우에는 최저점을 찾기 위한 수치해석 알고리즘 필요.
손실 함수(loss function)(=오차 함수) : 예측 결과 - 실제 결과

수치 해법(numerical method) : 미분의 정의를 이용할 때, 분모를 실제로 0으로 할 수는 없기에 0이 아닌 작은 수를 이용함. 보통 1e-05를 사용.
머신러닝에서 대표적으로 쓰이는 미분 공식


연쇄 법칙(chain rule) : 합성함수(함수의 함수)를 미분하기 위해 사용.

편미분

경사하강법 : 위에서 거론된 오차 함수를 최소화하는 a, b를 찾을 수 있는 최적화 알고리즘.
