Web Server Gateway Interface (WSGI)
- 다리와 같은 역할 - 서버나 게이트웨이를 어플리케이션이나 프레임워크가 이어줌
- Flask와 같은 마이크로 프레임워크를 서버로 연결해 외부에서 접속할 수 있도록 해줌
gunicorn
- ‘green unicorn’. 파이썬의 WSGI HTTP Server
- Flask 를 gunicorn 이라는 WSGI 서버로 넘겨 서버에서 구동
Heroku 배포
- 클라우드 플랫폼을 제공하는 서비스 = Platform as a Service
- 사용법만 따르면 빠르게 원하는 결과를 얻을 수 있음
- 다이노(dyno) 라는 기능을 이용해서 헤로쿠에서는 모듈처럼 원하는 대로 맞출 수 있다(?)
- 비용적인 측면에서도 저렴 + API나 배포 실험에도 사용 가능
- Vs. EC2
- 헤로쿠도 Amazon Web Services (AWS) 의 EC2을 사용 ; EC2 → 헤로쿠에 배포
- EC2 초기 설정으로 서버를 하나 배정받는 것과 같다
heroku login: 로그인
heroku apps: 계정 내 등록된 어플들의 목록
**heroku create test**: test라는 헤로쿠 어플을 등록
git remote -v: 헤로쿠 주소 확인?
**git push heroku master** (main): 깃 주소로 코드를 올리기