파이썬에서 리스트와 튜플을 이용해 자료구조의 기본인 배열 구현 가능

파이썬의 리스트와 자료구조의 리스트

arr1 = 7
arr2 = 5
arr3 = 3
arr4 = 1
print(arr1)
print(arr2)
print(arr3)
print(arr4)
# len() 함수를 활용하여 배열의 원소길이 구하기
# 기존에 파이썬에서 배웠던 리스트 메소드이다.
x = [15,'x',20,13,['a','b'], 'cde','1']
# 리스트의 전체 길이 출력
print(len(x))
# 리스트의 특정 인덱스의 길이 출력
print(x[1],'의 length: ', len(x[1]))
print(x[4],'의 length: ',len(x[4]))
print(x[5],'의 length: ',len(x[5]))
print(x[6],'의 length: ',len(x[6]))
# print(x[6],'의 length: ',len(x[0])) # 주석 풀어서 에러파악
# 리스트 인덱싱/슬라이싱 예시
s = [11,22,33,44,55]
print('s[0:3] 결과:', s[0:3]) # s[0:3] 결과: [11, 22, 33]
print('s[:3] 결과:', s[:3])
print('s[1:] 결과:', s[1:])
print('s[::2] 결과:', s[::2])
print('s[0:1:3] 결과:', s[0:1:3])
print('s[-3] 결과:', s[-3])
print('s[-3:-1] 결과:', s[-3:-1])
print('s[1:-1] 결과:', s[1:-1])